한국인 3대 사망 원인 중 하나임 심장병. 고령화 시대에 들어서고 현대인의 생활식습관이 바뀌면서 심장병환자들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요즘같이 날씨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간절기에는 더욱 심장의 이상징후를 유심히 체크하실 필요가 있어요. 목숨과 직결되는 질환이므로 일시적이고 가벼운 증상들도 놓치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동맥경화를 일으키고 좁아져 체 내에 충분한 혈액을 공급할 수 없을 때 생기는 질환입니다. 심장근육이 허혈상태에 빠지고 가슴을 쥐어짜는 통증이나 답답함, 호흡관란등의 이상징후가 나타납니다. 관상동맥의 구조적이상 없이, 교감신경 활성화로 인한 동맥의 경련도 협심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스트레스나 무리한 운동시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좁아진 관상동맥이 혈전으로 인해 완전히 막히게되면 심장근육의 손상 혹은 괴사가 일어나고, 심근경색이 발생합니다. 심장돌연사의 20프로를 차지할 정도로 무서운 질환입니다.
부정맥
심장이 비정상적인 리듬으로 불규칙하게 뛰는 질환입니다. 1분에 50-60회 미만일경우에는 서맥, 90-100회 이상일 경우에는 빈맥으로 정의합니다. 심장이 빠르게 혹은 느리게 뛰기 때문에 가슴 두금거림이나 호흡곤란, 가슴통증, 어지러움 혹은 무기력증 등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심부전증
모든심장병이 악화되면 결국 심부전증이 발생합니다. 협심증이나 심근경색등으로 심장근육의 수축기능이 약해져 체 내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의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계단을 오르기만해도 숨이 가쁘다면, 심장 펌프의 저하를 의심해봐야합니다.
심장질환의 예방
심장병의 요인은 흡연,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운동부족, 지나친 스트레스와 과로 등이 있습니다. 그 중 흡연은 동맥경화증의 가장 큰 원인입니다. 고혈압은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으로 심근경색이나 심부전증의 합병증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하는 당뇨병 환자의 경우도, 높은 혈당이 혈관 내막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일반인보다 동맥경화가 더 쉽게 발생합니다. 심장병을 앓고 계신 분들은 항산화제가 풍부한 과일과 야채 위주의 식단을 드셔야합니다. 고기보다는 오메가3가 풍부한 등푸른생선을 섭취하는것이 좋고 콩,두부,계란 등의 식물성 단백질도 좋습니다. 짜게먹는 것은 좋지않지만 지나친 저염식단을 장기간 유지할 시,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레닌과 알도스테론 등의 호르몬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뭐든지 적당량을 균형있게 섭취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매일 30분씩 운동하며 적정체중을 유지하고, 심혈관계 질환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복부 내장지방을 줄이는 것도 심장병의 치료와 예방에 큰 도움이 됩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에좋은음식 폐암증상 폐암원인물질 폐암예방 호흡기질환 (0) | 2022.11.09 |
---|---|
갑상선기능저하증 갑상선기능항진증 갑상선에좋은음식 (1) | 2022.11.09 |
당뇨증상 당뇨합병증 혈당낮추는음식 성인병 (0) | 2022.11.09 |
고혈압낮추는방법 혈압낮추는음식 고혈압에좋은음식 (0) | 2022.11.09 |
콜레스테롤낮추는음식 고지혈증좋은음식 콜레스테롤 HDL LDL 고지혈증 (0) | 2022.11.09 |
댓글